Git, Github 초 간단 사용법
Git은 버전관리시스템(VCS)입니다. 즉 자신의 코드를 수정,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리누스 토즈발트가 리눅스 커널개발을 위해 처음 만들었다고 합니다. 협업을 위해 많이 쓰이고 특히 오픈 소스 개발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쓰입니다.
대략적인 흐름입니다. 위의 과정을 거쳐 코드를 push하면 github페이지에서도 열람할 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에 git 홈페이지를 찾습니다. 다운로드를 클릭해서 설치해 주세요.
github에 가입을 하셨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안하셨으면 가입해 주세요제가 cmd/terminal로 git을 이용하므로 cmd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처음으로 cmd에 자신의 이름과 계정을 명시해줍시다.
위와 같이 cmd에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계정"
을 쳐줍니다.
깃허브에 들어갑시다. new repository를 클릭해서 새로운 레포를 만듭시다.
레포란 프로젝트를 담는 곳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여러개 만들수 있습니다.
레포 이름, 설명, 공개/비공개 여부 확인후 만들어 줍니다. 참고로 비공개는 유료입니다. 학생에 대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치면 일정 개수는 무료입니다.다음은 cmd의 간단한 명령어 입니다.
cd 폴더명 <-- 폴더로 들어가기
cd .. <-- 상위 폴더로 가기
dir <-- 현재 폴더의 파일 목록 출력
위 명령어를 이용해 원하는 폴더로 들어갑시다.
그 다음 다음의 명령어로 레포를 로컬에 복사해 줍시다.
git clone <깃허브에서 복사한 그 주소 (.git으로 끝나는) >
빈 레포를 클론 하였으니 아마 warning이 뜰텐데 괜찮습니다.
dir 명령어를 쳐보면 깃허브에서 만든 레포가 만들어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d <레포명> 으로 폴더안으로 갑시다.
아무것도 없습니다.
시연을 위해 2개의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git이 트래킹할수 있게 git add를 해줍시다.
git add <파일명> <-- 그 이름의 파일을 트래킹합니다.
git add . <-- 폴더안 모든 파일을 트래킹합니다. 주의할점은 add 한칸 띄고 점 입니다.
트래킹한 파일을 커밋합시다.
git commit -m "커밋메시지"
커밋할때 -m 옵션을 이용하여 무엇이 바뀌었는지, 무엇을 커밋하는지를 명시해 주면 나중에 관리할때 유용합니다.
이 커밋한걸 push합시다(서버에 보냅시다).
git push origin master
origin 과 master의 뜻은 다음포스팅때 알아봅시다.
잘 올라간걸 볼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레포에 파일을 수정하고 추가할때도 위의 방식대로 하면 됩니다.(대부분은..)
파일이 트래킹이 안되어 있음 추가하고(git add), 변경사항을 커밋하고(git commit), 그다음 서버에 푸시하면(git push)됩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ReplyDelete감사합니다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