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의 차이
흔히 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할때 작성하는 코드는 대부분 Hello World! 를 명령어창에 출력해보는것인데, C언어에서는 모두 HelloWorld.c 파일을 만들어 #include<stdio.h>......
를 쓰서 C파일을 '컴파일'후 실행한다.
허나 Python은 조금 다르다. Python의 경우 HelloWorld.py 파일을 만들어 print("He......
를 쓰로 그냥 python HelloWorld.py 라는 명령어를 쳐서 파이썬파일을 '실행'한다.
그렇다면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일까?
C언어는 컴파일 언어로써 그의 출발어를 L이라 하면 그가 컴파일 돼서 만들어진 도착어는 L'로 기존의 언어와 다르다. 이때의 L'언어는 기계, 즉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데, 따라서 컴파일러가 사람이 친 코드를 기계가 이해할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서 바뀌어진 파일을 생성하여 그 파일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미 기계어로 바뀐 파일을 실행하다보니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Python은 컴파일이 없다. 대신 해석실행(interpretation)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이는 코드를 줄마다 읽어가며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코드 수정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를 쓰서 C파일을 '컴파일'후 실행한다.
허나 Python은 조금 다르다. Python의 경우 HelloWorld.py 파일을 만들어 print("He......
를 쓰로 그냥 python HelloWorld.py 라는 명령어를 쳐서 파이썬파일을 '실행'한다.
그렇다면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일까?
C언어는 컴파일 언어로써 그의 출발어를 L이라 하면 그가 컴파일 돼서 만들어진 도착어는 L'로 기존의 언어와 다르다. 이때의 L'언어는 기계, 즉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데, 따라서 컴파일러가 사람이 친 코드를 기계가 이해할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서 바뀌어진 파일을 생성하여 그 파일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미 기계어로 바뀐 파일을 실행하다보니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Python은 컴파일이 없다. 대신 해석실행(interpretation)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이는 코드를 줄마다 읽어가며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코드 수정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Comments
Post a Comment